본문 바로가기

행정사일지

행정사를 시작한 이유

반응형

연대 인사과장으로 근무 할 때 연대장님 실에 아침 신문을 넣기 전에 슬쩍 보았는데, 행정사라는 자격증이 1회 시험이 진행된다는 거였다. 

 

기사 제목 밑에는 일정 급수에서 재직한 공무원에게는 무상으로 준다는 건데, 운이 좋게도 나는 해당이 되었다.

 

별 생각 없이 보던 중에 뭔가 호기심도 들어서 검색을 해보니 행정대서?라는 명칭이 더 익숙한 자격이었는데, 원래는 퇴직공무원에게 주는 자격이었는데 일반인들이 헌법소원인가? 암튼 소송을 해서 일반인도 시험을 통해 취득할 수 있게 되었고, 그 시험이 1회였던 것이다.

 

어차피 특별히 써먹을 때는 없지만 공짜라면 양잿물도 마신다는 말 처럼, 당시는 아무 생각없이 국방인사포털에 접속해서 경력증명서를 발급해 자격증을 신청했다. 내가 연대 인사과장이라 가능했던 것 같다. 

 

응시원서와 경력증명서를 보내고 12월 26일 자격증이 왔다. 온 이후에는 딱히 쓸모가 있겠냐며 처박아 두었다. 전역할 때까지 생각조차 나지 않았다.

 

사실 전역을 하고 뚜렷한 직업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어쨋든 되겠지? 라는 마음에 전역 장교 공채 부터 취업 지원을 했으나, 전역 장교 공채는 3년만 복무하고 전역하는 학군 장교를 대상이었고 30살이 넘어간 나에게는 전역장교 공채는 해당이 없었으며, 연락오는 곳은 보험, 경비업체 등 밖에 없었다.

 

다행이었는지 부모님께서는 작은 사업을 하셨는데 월 300만원을 받고 일을 했다. 농담삼아 이야기하는 부모 자식 간에 하면 안되는 것 중 하나가 운전교육이라는 말 처럼, 같은 직장에서 사장과 종업원의 관계로 2달 정도 생활했으나 얻은 것은 스트레스 성 위염이었고 1주일 정도 입원을 했다.

 

1주일 동안 입원을 하면서 우연히 행정사 실무교육 공고를 보게되었고, 스트레스 받아 죽으나 굶어 죽으나 매한가지라는 생각에 퇴원하는 날 바로 행정사업 등록 신고를 했다.

 

그러나 한가지 놓친게 있으니, 전역을 했지만 아직 직업보도교육(전직지원교육) 기간이라 업무신고가 반려된 것도 있고, 실무교육 이수를 해야 하는데 실무교육도 안하고 서류를 집어넣었으니 당연 반려가 되었다.

 

뒤늦게 실무교육 신청을 했다. 당시 7기 행정사 교육이었는데, 이 때만 해도 행정사 제도 자체가 적립되지 않은 시기라 실무교육은 그냥 친목 모임 정도였고, 대부분이 퇴직 공무원 80%에 시험 출신 20%정도였으니 시출은 시출끼리 공출 중에 군출은 군출끼리 모여 잡담이나 나누었고, 미안하지만 강사들도 전문 지식이 아닌 행정사로 먹고 살기 힘들다라는 이야기만 하였다.

 

실무교육이 끝나고 다시 행정사 개업신고를 한 후 정상 수리되었다는 문자를 받고 본격적으로 행정사 업무를 보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내가 행정사를 한 이유는, 스트레스 받아 죽으나  행정사 개업해서 망해서 굶어죽으나 그 마음 가짐으로 시작한 것이다.

 

반응형